CLM의 등장 배경: "전자서명 솔루션의 한계를 뛰어넘다"
계약서 작성 → 이메일로 주고받기 → 수정 → 다시 이메일 → 전자서명 플랫폼 업로드 → 서명 완료 이 과정, 익숙하지 않나요? CLM은 바로 이런 지옥의 협업 프로세스에서 탄생했습니다. 초기 전자서명 솔루션(DocuSign 등)은 서명 자체만
디지털화했을 뿐, 계약의 작성·협업·관리는 여전히 수동에 머물렀죠.
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서명 솔루션
전자서명 솔루션의 현실
- 워드 + 이메일 + 전자서명 조합이 주류였지만, 전자서명률은 여전히 낮음
- 문제는 협업 과정에 있습니다. 예를 들면
- A팀 → 법무팀: "검토 부탁드립니다!" (첨부: 계약서_v1.docx)
- 법무팀 → A팀: "3항 수정 필요합니다" (첨부: 계약서_v2_final.docx)
- A팀 → 상대사: "v2로 서명해주세요!" → 상대사: "v1과 다른 점이 뭔가요?"
- 결국 전화로 설명하고, 다시 v3 작성... (무한 루프)
기존 전자서명 솔루션의 3대 한계점
1. 협업 지옥: "진짜 최종본은 도대체 어디에?"
- 최신버전의 딜레마: 버전 10개가 사내·외를 떠돌며 "어떤 게 최신인지" 혼란
- 보안 구멍: 계약서가 외부로 유출되거나, 해킹된 이메일로 인한 정보 노출 위험
- 로펌과의 삐걱거리는 소통: "수정 요청사항을 메일로 보내드릴게요. 확인하시고..." (1일 소요)
2. 데이터 암흑 시대: "계약서는 그저 서명용 파일일 뿐"
- 쓰레기통 같은 저장 방식: 로컬 PC, 이메일 첨부, USB... 필요한 계약서는 항상 어딘가에 숨어있음
- 인사이트 추출 불가: "작년에 체결한 계약 중 6개월 이상 지연된 건이 몇 개지?" → 수동 검색에 3시간 투자.
- AI 시대에 뒤처진 계약 관리: 데이터가 흩어져 있어 AI 분석은 꿈도 못 꿈
3. 버전 관리 전쟁: "파일명: 최종_진짜최종_v12.docx"
- 수동 기록의 한계: 누가, 언제, 무엇을 수정했는지 추적 불가.
- 갑작스러운 변경 요청 대응 불가: "지난주 버전으로 돌려주세요" → 백업 파일 찾으러 문서의 바다로 다이빙
CLM의 등장: "협업·데이터·버전 관리의 3대 악마를 때려잡다!"
기존 전자서명 솔루션의 단점을 보완하고, 계약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디지털화한 것이 바로 CLM입니다

📌 CLM vs. 전자서명 솔루션 비교
전자서명 솔루션 vs CLM 솔루션
협업 | 이메일 의존 → 지연·혼란 | 실시간 동시 편집 + 변경 히스토리 추적 |
데이터 | 서명된 파일만 저장 | 모든 계약 데이터 중앙 집중화 + AI 분석 가능 |
버전 관리 | 파일명으로 구분 (사람 책임) | 자동 버전 기록 + 수정자·시간 표시 |
보안 | 이메일·파일 저장소에 의존 | 암호화 저장소 + 접근 권한 제어 |
CLM이 가져온 혁신: "계약 관리의 판을 바꾼 3가지 변화"
- 협업의 진화
- 사내 팀, 로펌, 상대사가 같은 문서에서 실시간 코멘트 달기
- "A조항 수정 요청" → 알림 자동 전송 → 즉시 반영
- 데이터의 재탄생
- 계약서를 '살아있는 데이터'로 활용
- "평균 계약 체결 기간", "자주 수정되는 조항" 등 인사이트 추출
- AI 예측: "이 계약서, 법적 리스크 70% 가능성. 주의하세요"
- 계약서를 '살아있는 데이터'로 활용
- 버전 관리의 종말
- GitHub처럼 계약서를 관리
- "v1 → v2 → v3" 변경 사항을 차트로 시각화
- "어제 상대사가 추가한 조항"만 따로 확인 가능
- GitHub처럼 계약서를 관리
이렇게 편리한 CLM 솔루션을 이용하고 싶다면??
'솔루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정보 보호법 QnA 챗봇 (0) | 2025.04.07 |
---|---|
TPRM(제3자 리스크관리)의 필요성 (0) | 2025.03.14 |
전자문서 유통증명서 이게 뭘까요? (2) | 2025.02.02 |